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분류 전체보기 (51)
      • MHMEI 발간물 (18)
        • MHMEI 중동포커스 (9)
        • MHMEI 오피니언 (5)
        • MHMEI 시사포커스 (4)
      • 오늘의 중동소식 (28)
        • 걸프 (7)
        • 북아프리카 (1)
        • 이란 (12)
        • 터키 (2)
        • 레반트 (0)
        • 이스라엘 - 팔레스타인 (5)
      • 소개 (1)
        • 연구소 소개 (1)
      • 개인공간 (4)
        • Readings (1)
        • 영국생활 (2)
        • 일상 (1)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중동포커스] 사우디 뉴캐슬 인수 … 걸프 국가들이 유럽 축구클럽을 사들이는 이유

    2021년 10월 7일,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ublic Investment Fund, PIF)는 영국의 프리미어 리그 축구팀 뉴캐슬 유나이티드를 약 3억 파운드(한화 약 4,700억 원)에 인수했습니다. 이는 가장 최신의 소식일 뿐이며, 최근 들어 걸프 국가들의 유럽 축구 구단들에 대한 관심을 주목할 만합니다. UAE의 맨체스터 시티, 카타르의 파리 생제르망 등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걸프 국가들의 움직임에 대해 헤자 바르자니는 경제적 이익, 사회적 이익의 측면에서 분석했습니다. 바르자니에 따르면, 최근 걸프 국가들이 탈석유화의 일환으로 산업 다각화 및 외국 투자를 늘리고 있는데, 세계 최대 규모의 스포츠 시장을 유지하고 있는 유럽 축구 무대가 이들에게 매력적인 투자처로 보였을 겁니..

    MHMEI 발간물/MHMEI 중동포커스 2023. 2. 18. 09:14

    [중동포커스] "튀르키예, 정권 교체 시 걸프국들과 관계 재검토할 것"

    전문가의 의견에 따르면, 오는 6월 예정되어 있는 튀르키예 대통령 선거에서 정권 교체가 이루어진다면 현 튀르키예-걸프 국가 간 관계가 재정립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책 전문가인 푸아드 샤흐바초프(Fuad Shahbazov)는 워싱턴 소재 연구기관 걸프 인터내셔널 포럼(Gulf International Forum, GIF)을 통해 기고한 사설을 통해 “(정권 교체가 이루어져) 야당인 공화인민당(Cumhuriyet Halk Partisi, CHP)은 현재 걸프 국가들과의 관계를 재정립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튀르키예 제 1 야당인 공화인민당은 현대 튀르키예 공화국의 국부인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Mustafa Kemal Atatürk)의 정당이며 세속주의를 표방하기에 정치에서의 이슬람주의를 표방하는 현 ..

    MHMEI 발간물/MHMEI 중동포커스 2023. 1. 11. 00:42

    [중동포커스] 걸프 산유국과 러시아가 날이 갈수록 친해지는 이유

    앤드류 바이스(Andrew S. Weiss) 카네기 인다우먼트 러시아.유라시아 프로그램 부회장은 지난 5일 게재한 논평에서 최근 급격하게 가까워지고 있는 러시아와 걸프 아랍국의 관계를 미국의 중동 출구 전략에 따른 공백 메꾸기로만 보아서는 안된다고 언급했습니다. 걸프 산유국과 러시아는 지난 2016년 중동과 유라시아의 산유국들을 아우르는 협의체 OPEC+를 출범시키면서, 협력을 증대했고, 지난 2017년 10월에는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 사우드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이 모스코바를 직접 방문하기도 했습니다. 러시아와 걸프 아랍국 간의 관계가 개선되는 것에 대하여, 종종 많은 전문가들은 미국이 "아시아 중심(Pivot to Asia)" 전략에 따라 중동 지역에 대한 자국의 국익 이해 관계가 많이 감소하였고, 이..

    MHMEI 발간물/MHMEI 중동포커스 2022. 10. 8. 01:27

    [중동포커스] 알리의 웨딩 : 비슷한 듯 다른 두 문화권

    서기 622년, 예언자 무함마드는 메카 부족들의 박해를 피해 추종자들을 데리고 야스립(現 메디나)로 이주(히즈라, Hijra)한다. 야스립으로의 이주는 이슬람이 초창기에 무너지지 않고 발전하는 것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슬람의 긴 역사 속에서 보았을 때, 예언자 무함마드의 히즈라 결정은 이슬람의 생존에 큰 영향을 미쳤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고, 이 때문인지 이후 622년은 이슬람력의 원년이 된다. 이처럼 이슬람에서 이주는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역사적으로도 이슬람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던 이주는 현대 사회에 와서도 많은 무슬림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샘 솔로몬(Sam Solomon)과 같은 학자는 무슬림들이 전세계적으로 이슬람의 집(Dar al-Islam, 이슬람의 지배하에 샤리아법이 충분히 이루..

    MHMEI 발간물/MHMEI 중동포커스 2022. 9. 3. 00:00

    [중동포커스] "문명의 충돌"에 대한 비판

    I. 서론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이하 소련) 해체 이후, 학계에서는 미래 국제 질서 변화에 대해서 다양한 담론들이 오갔다. 냉전 체제가 종식됨에 따라 후쿠야마(1989)와 같은 학자들은 자유민주주의와 시장 경제 이념으로 자유 진영이 공산 진영으로부터 사상적 경쟁에서 승리했고, 이에 더 이상 인류는 이념적 진화를 멈출 것, 즉 “역사의 종언”이라는 낙관론을 펼친 바 있다(Fukuyama 1989). 냉전에서 서방이 승리함에 민주주의 국가들 사이에서는 무력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는 민주평화론(Democratic Peace Theory)이 대두될 즈음 후쿠야마의 스승이자 미국의 정치학자인 헌팅턴(1993)은 탈냉전 이후 시기에 국제 정치를 지배할 패러다임으로 문명 간의 갈등을 제시했다(Huntingt..

    MHMEI 발간물/MHMEI 중동포커스 2022. 9. 2. 21:34

    [중동포커스] 사우디아라비아 소프트파워 분석 : 과거와 현재 전략

    I. 서론 현대 사회는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는 것을 넘어 기술적ㆍ경제적으로 발전되기 위해서 국가는 국경을 개방하여 다른 국가들과 협력해야 한다. 현대 국제 사회에서의 국가는 전통적 국력으로 대변되는 하드파워 뿐만 아니라, 이른바 “설득을 통한 특정 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힘”으로 정의될 수 있는 소프트파워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소프트파워는 국가가 가지고 있는 매력을 통해 목표를 달성하게 해줄 수 있는 능력으로, 높은 비용이나 인적 손실을 유발할 수도 있는 하드파워에 비해 현대 국제 사회에서 국가가 사용할 수 있는 더 효율적인 도구라고 볼 수 있다. 사우디아리비아는 중동ㆍ북아프리카(MENA) 지역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역내 패권국이다. 사우디의 이러한 지위는 국방..

    MHMEI 발간물/MHMEI 중동포커스 2022. 8. 11. 00:17

    [중동포커스] 터키 PKK의 정치노선 변화 : 민주적연방제를 중심으로

    I. 서론 : 터키와 쿠르드족 현대 터키는 국부인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Mustafa Kemal Atatürk) 시절부터 강조되어온 튀르크 민족주의 이념의 여파로 자국 내의 쿠르드족들에 대해 철저한 탄압을 지속해왔다(Mango 1999, 1). 터키의 쿠르드족에 대한 잔인한 탄압은 터키가 건국시절부터 지속되어온 숙원정책인 유럽 국가로 인정받게 되는 것, 즉 유럽연합(European Union) 가입에 큰 걸림돌로 작용해왔다(Taylor 1999). 쿠르드족에 대한 터키 정부의 탄압은 여러 쿠르드족 분리주의 단체의 난립을 유발하기도 했다. 저명한 네덜란드 지리학자 de Blij는 지리학적 관점에서 테러 유형을 크게 두 분류로 나누었는데, 바로 분리 독립, 즉 국경 재설정을 위해 투쟁하는 테러와 종교적 ..

    MHMEI 발간물/MHMEI 중동포커스 2022. 6. 3. 00:33

    [중동포커스] 흡연에 대한 이슬람 입장 및 근절 노력 조사 : GCC 회원국을 중심으로

    I. 서론 흡연은 현대 사회에서 가장 보편화된 약물로 현대 의학의 연구에 따르면 폐암, 심근경색, 만성 폐부전과 같은 질병의 주요원인이며, 치사율이 높은 호흡기 질환의 주요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한국 사회에서 우리는 보통 술과 담배를 묶어서 보는 경우가 많다. 이 중 술은 이슬람 율법에 의거하여 엄격하게 금지되고 있지만, 담배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 본고는 이에 대한 필자의 의문에서부터 출발했음을 밝힌다. 하디스에 따르면, 무슬림은 마늘 등을 먹고 모스크에 들어가서는 안 된다(Sahih al-Bukhari 5451, Sahih Muslim 563). 입에서 냄새가 나기 때문이다. 이슬람법학자들은 이 순나를 근거로 흡연을 하게 되면 입에서 악취가 나기 때문에 모스크에 들어갈 수 없다는 파트와를 내놓았다...

    MHMEI 발간물/MHMEI 중동포커스 2022. 3. 3. 16:58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MHMEI
    모현중동연구소 MoHyeon Middle East Institute, مؤسسة الشرق الأوساط في موهيون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